인터넷 용어모음
==================================================================================
부팅 부팅이란 부트스트랩의 줄임말로, 구형자동차에서 시동을 걸때사용하던 가죽끈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부팅이란 자동차의 시동거는것과 비슷하다. 다시말하면 컴퓨터가 각종 응용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는 과정인 것이다.
쿠키 익스플로러나 넷스케이프같은 인터넷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방문한 웹주소를 받는다. 브라우저는 이 웹주소를 지우지 않고 기억했다가 다음에 사용자가 이전에 방문한 주소를 몇자 입력하면 나머지를 기억하여 모두 나타내줌으로서 더이상 사용자가 나머지 주소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그렇게 기억된 이전에 방문했던 주소를 쿠키라고 하는데 이 쿠키로 인해 다시 방문할때는 주소를 다 입력하지 않아도 되고 아이디나 비밀번호도 치지 않아도 되는것이다
웜부팅 PC가 갑자기 멈추면 재부팅을 해야 하지만, 무조건 전원을 끄거나 리셋을 누르는건 좋은 방법이 아니다. 그럴경우는 왜 그렇게 되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이럴때 Ctrl+Alt+Del 키를 한꺼번에 눌러주면 안전하게 재부팅이 된다. 이렇게 세개의 단추를 함께 눌러주는 방식이 웜부팅이다.
쿨부팅 컨드롤+알트+델 키가 먹히지 않을때 즉, 웜부팅이 먹히지 않을땐 쓰는 방법이 리셋이다. 이 리셋버튼을 누르는 것이 바로 쿨부팅이다.
백업(backup) 하드디스크나 플로피에 있는 파일을 하나 더 만들어 놓는 작업을 말한다. 불의의 사고에 대비하여 안전하게 자료를 다른 곳(플로피디크, 씨디, 다른 저장장치) 에 보관하는 것도 포함된다.
상용소프트웨어 돈을 지불하고 사용하거나 구입하는 모든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를 말하는데 대표적인것이 게임, 윈도우나 워드등이다.
패치파일 프로그램의 버그나 잘못된 것을 수정하거나 조정해주는 수정파일(프로그램)을 말한다.
응용프로그램 운영체제처럼 어떤 하드웨어의 기능적인 프로그램이 아닌 어떠한 기능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프로그램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일번적으로 사용하는 한글97이나 포토샵 또는 각종게임프로그램등을 말한다.
업그레이드와 업데이트 업그레이드는 하드웨어를 품질향상 또는 기능향상시키는 것을 말하며,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기능향상시키거나 최신 버젼으로 올리거나 새로운 것을 추가시카는 것을 업데이트라 한다.
프리웨어 아무조건이나 기간, 기능 제한없는 공짜로 배포되는 프로그램이다.
쉐어웨어 약간의 금액을 지불하면 정품처럼 사용할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지불을 거절하면 사용제한이 있다. 요즘 대부분의 유틸리티가 셰어웨어에 속하며 대표적인것이 알집,윈집,acdsee등이 있다.
프로토콜 컴퓨터간의 서로 통하는 언어로 컴퓨터간에 자료를 주고받을때 사용되는 기본 언어다. 예로,http://가 있다.
방화벽(firewall) 외부로부터 컴퓨터의 유입을 차단하는 즉, 해킹이나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유틸리티 유용하다는 뜻으로 컴퓨터의 기능을 좀더 편하게 도와주거나 다른 프로그램을 보조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용량 은 별로 크지 않고 대부분 쉐어웨어가 많다. 대표적으로 백신, 알집, 그래픽 프로그램등이 이에 속한다.
레지스트리 윈도우는 수많은 정보를 모두 기억 저장해둔다. 그중 가장 큰 정보를 모아 놓은 것이 바로 레지스트리다.
와레즈 ‘와레즈’는 ‘어디 있지?’를 뜻하는 ‘Where it is?’에서 나온 단어다. 정품 소프트웨어의 암호를 풀어 사용 제한을 없앤 프로그램이나 MP 3 음악 파일 등을 공짜로 다운받기 위해 사이버 공간을 헤매는 행위, 또는 이를 모아놓은 사이트를 가리킨다.
캐시 아주 짧은 시간 후에 다시 사용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 두는 장소로 캐시메모리라 부른다.
웹호스팅 웹 호스팅(web hosting)은 자기 도메인을 갖고 홈페이지를 운영하려 할 때 서버 컴퓨터가 없는 사람들을 위해 생겨난 서비스이다. 매월 일정액을 내고 서버의 일부 공간을 빌려 사용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저렴한 가격에 홈페이지를 관리할 수 있고 게시판·방명록 등 어려운 기능을 쉽게 갖다 쓸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서버 제공 업체의 홈페이지를 통해 방문객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CD-R과 CD-R/W의 차이점 CD-R은 자료를 한번만 기록할 수 있으나, CD-R/W는 여러번 지우고 쓸 수 있다. C D-R에 자료를 저장할 때는 보통 굽는다는 표현을 한다. 레이저로 CD-R바닥의 염료를 태워 홈을 만들기 때문에 '굽는다'란 표현을 사용한다. CD-R/W는 염료를 태우기 보다는 변화를 주기때문에 굽는다보다는 '녹인다'란 표현을 사용한다.
메모리 CPU가 처리할 데이터를 미리 준비해주는 기억장치다. 물론 용량이 크면 속도도 빨라진다. 하지만 너무 큰 용량은 오히려 방해가 된다. 적당한 상태의 용량의 메모리가 좋다. 램(RAM)과 롬(ROM)으로 구분되는데 램은 읽고 쓸수있지만 전원을 끄면 담았던 내용이 없어진다. 대표적으로 SD램이있다. 물론 전원을 꺼도 담았던 내용이 그대로 있다. 대표적인것으론 CMOS 바이오스가 있다.
스왑(SWAP) 모든 데이터를 기본메모리에서 처리하지만 당장 쓰지않는 데이터는 가상메모리로 보낸다. 그러다가 다시 필요하면 기본메모리로 불러 가져온다. 이렇게 서로 빌려쓰면서 작업속도가 떨어지지 않게 하는것.
트로이목마(바이러스) 시스템에 몰래 숨어들어와 자료를 훔쳐가거나 지우는 악성 프로그램을 통틀어 말한다. 바이러스처럼 다른 파일에 감염을 시키진 않는다. 고로 감염된 파일만 지우면 된다.
후킹(hooking) 해킹기법의 하나로, PC이용자가 키보드를 누른 정보를 밖으로 빼돌리는 것으로 예를들면, 신용카드번호나 그외 각종 비밀번호등 중요한 정보를 유출시키는 기법이다.
핑(Ping) 다른말로 ICMP flood로, 서버와 인터넷 게이트 웨이 사이에서 메시지를 관리하고 에러를 알려준다. 핑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지 알려주는 유틸리티다.
논리폭탄(바이러스) 악성파일에 어떤 조건을 넣어주고 그 조건에 만족하면 시스템에 있는 자료를 파괴한다. 중국의 '이붕 바이러스'가 그 좋은 예인데, 이것을 띄우면 '당신은 이붕의 퇴진을 원합니까?' 라고 묻는다. 이때 대답을 NO라고 하면 사스템의 모든 자료는 파괴되는 식이다.
와이프(WIPE) 파일이나 자료를 복원할 수 없도록 완전히 삭제하는 것.
코덱(codec) 음성 또는 영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더와 디지털 신호를 음성 또는 영상의 아날로그 로 변환하는 디코더(decorder)의 합성어이다. 코덱을 사용해서 만든 파일은 코덱이 깔려있어야만 재생이 가능하다.
데이타 베이스 컴퓨터에 대량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보관해 둔 것으로 이것을 이용하면 원하는 자료를 검색하고 자료를 순서 대로 정렬하는 등의 작업을 빠른속도로 할 수 있다.
버그 원래 미국의 프로그래머들끼리 사용하던 말로 프로그래밍 상의 실수를 의미한다. 컴퓨터나 소프프웨어가 예상밖의 동작을 할때, 어디선가 기어나오는 벌레(bug)와 닮았다고 해서 버그라는 말이 사용되었다. 새로나온 프로그램은 완벽할 수 없기에 프로그램을 만든 회사에서는 얼마뒤에 그 프로그램의 버그를 수정하는 소프트웨어인 패치버젼을 발표하기도 한다. 버그를 수정하는 작업을 디버깅, 버그수정, 버그잡기, 버그픽스, 버그퇴치등으로 부른다.
버스(bus) 버스란 컴퓨터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부품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를 말한다.
버전(version) 한 프로그램에 붙어 있는 프로그램의 현 상태를 확인해주는 것으로, 프로그램이 발표되면 반드시 부족한점 이 드러나게 되고 또 첨가할 사항이 생겨난다. 이런경우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선시켜 다시 내놓게 되는데 이때 프로그램의 이름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이름뒤에 숫자를 바꾸어 줌으로써 처음보다 성능이 향상되었다는 상태를 구분해 주는 것이다. 한글97에서 한글2000(워디안)으로 다시 한글2022로 바뀐것처럼 말이다.
아케이트 게임 순발력과 민첩성을 요구하는 게임분야로 총쏘기, 액션, 스포츠게임등이 여기에 속한다.
웜(worm) 컴퓨터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히지는 않지만 자기복제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에 끊임없이 자기를 복제하는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한 종류이다.
인스톨(install) 설치라고 하며 운영체제나 각종 응용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드디스크에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셋업(setup)라고 부르기도 한다.
스파이웨어(spyware) 사용자 이름이나 아이피주소, 방문한 웹사이트 목록, 클릭한 배너 광고 등 사용자 컴퓨터속의 정보를 빼내서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바이러스보다 더 무서운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롤백(Role-back) 시스템 장애가 발생되면 프로그램이 다시 수행되는 시스템
바이오스 사용자가 PC를 켜면 곧바로 시작되는 프로그램으로 하드디스크, 비디오 어댑터,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장치와 컴퓨터 운영체계 간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하기도 한다.
서비스 팩 다수의 패치들과 향상된 또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것으로, 초기 소프트웨어의 성능향상작업을 사용자가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시디키(CD key) 소프트웨어의 설치 과정이나 사용중에 정식 사용자임을 인증받기위해 입력해야하는 문자들로, 보안구역 접근시 열쇠대신 보안통과 정보를 담은 시디를 말한다.
안전모드(세이프 모드) 윈도우를 사용하다 문제가 발생한 경우 가장 기본적인 주변기기만을 사용하여 부팅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새로운 하드웨어를 추가하거나 프로그램 사용중에 문제가 발생하여 제대로 윈도우 상태로 부팅되지 않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모티콘 이메일이나 채팅 그리고 메시지를 올릴때 문장의 내용을 보충하기 위해 키보드 글자나 부호들의 짧은 나열을 이용하여 얼굴표정을 흉내내거나 느낌을 나타내기위한것
트레픽 흔히 네트워크를 통해 움직이는 데이터의 양이나 어떤 종류의 트랜잭션 및 메시지 등의 양을 의미한다.
크래커 해커와 비교되는 말로, 악의를 품고 타인의 서버나 PC에 침투하여 내용을 손상시키는 사람을 지칭
트웨인 스캐너,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와 같은 입력장비와 이미지를 편집해주는 응용 소프트웨어간의 커뮤티케이션을 담당하는 표준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을 의미
패킷 데이터 전송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묶음
A Whiter Shade Of Pale - Annie Lenno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