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제가 사는 충주에는 지난 2010년 4월에 신니면이란 곳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여 아직까지도 그 방역조치로 시름을 앓고 있습니다.
충주인근을 지나가시던 분들은 도로에 지나가는 모든 차량에 방역을 실시하는 모습을 보았을거예요.




그럼 구제역이란 무엇일까요?
구제역은 소, 돼지, 사슴등의 가축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 전염병인데
구제역에 걸리면 급격한 체온상승과 입, 발굽등에 수포가 생기고 식욕저하의 현상이 일어나고 시름시름 앓다가 죽는다고 합니다.
구제역은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구제역이 발생하면 더이상 확산이 안되도록 조치를 취하는게 최선책이므로 구제역의 발생지역내 500m의 소들은 모두 사육하고 3km이내에서는 이동도 금지되고 있습니다.


구제역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서 충주시청내의 축산과를 찾아가 보았는데, 시청에서는 별도의 재난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구제역의 확산방지에 애쓰고 있었습니다.
축산과를 중심으로 각 동,읍,면단위로 시스템이 구축되어 오염지역과 위험지역, 경계지역, 관리지역으로 나뉘어 현재 42개소 방역초소를 운영하여 소독기를 설치하고 방역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축산직원과 경찰, 소방공무원, 민간인들이 모두 동원되는 구제역 방역활동을 하는것을 보면 구제역이 농가의 생활에 얼마나 큰 위험요소인지 알것 같습니다.


텔레비젼에서 보면 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여 한탄스러워하는 모습들이 보이는데, 아래의 문답을 통해 어느정도 피해농가의 지원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문) 기르던 가축이 살처분되면 농가는 어떤 지원을 받나요?
답) 가축이 살처분된 농가는 살처분보상금과 생계안정자금을 지원받습니다.
살처분되는 가축뿐만 아니라, 폐기되는 사료등에 대해서도 시세의 100%를 지급합니다.


문) 살처분보상금은 어떻게 확정되고 언제 지급되나요?
답) 가축과 사료등의 매몰처리가 완료된 이후 보상금 평가반에서 확정합니다.
축산농가의 어려움을 덜어드리기 위해서 살처분확정 전이라도 추정액의 50%를 우선 지급해 드립니다.


문) 보상을 다 받지 못하는 농가도 있다고 하던데요?
답) 방역조치를 소홀히 한 농가의 경우 보상금이 삭감될 수 있습니다.


문) 나중에 다시 가축을 키우려면 목돈이 필요한데,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답) 구제역 상황이 마무리된 후 가축을 입식하고자 하는 경우, 가격의 100%를 융자금으로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문) 피해농가에 대해 그 밖에 또 어떤 지원이 있나요?
답) 피해농가의 중.고등학생 자녀의 학자금 1년치가 면제되며, 농가의 상환자금이 있을경우 2년간 상환기간을 연장하고 이자도 면제해 드립니다.

이처럼 구제역이 발생하면 살처분은 불가피한 조치이지만 나라에서 피해농가의 세심한 배려와 지원이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시청직원분의 말씀으로는 농가에서는 소를 키우는것을 자식키우듯 정을 쏟기때문에 금전적인 손해보다 마음의 상처가 더 크다고 하십니다.
우리식구 중에 누군가가 불의의 사고로 인하여 목숨을 잃는다고 생각하면 정말 아찔하고 생각하고 싶지도 않은데, 그런 점을 보면 구제역 피해농가의 마음을 이해할 수 도 있을것 같습니다.


구제역은 18~24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모두 죽기때문에 익혀먹는 고기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구제역의 방역 및 대책은 나라에서 열심히 하고 있고 구제역에 걸린 가축은 일반인에게까지 유통되지도 않는다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저희는 마음으로 하루빨리 구제역이 없어지길 바라며, 아무 이상없는 고기를 괜히 회피하지말고 맛있게 먹으면 될 것 같습니다.
그것이 구제역 피해농가에게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인것 같습니다.

Posted by 행키스
|